본문 바로가기
육아

우리 아이, 아직도 말이 늦어요 – 언어 지연의 원인과 조기 개입

by 도토리콩콩뿡 2025. 4. 12.
728x90
반응형

우리 아이, 아직도 말이 늦어요 – 언어 지연의 원인과 조기 개입

 

또래보다 말이 느린 우리 아이… 기다려도 괜찮은 걸까요?

목차

1.언어 지연이란?

언어 지연이란, 아이의 말하는 능력이나 이해 능력이 또래 평균보다 현저히 뒤처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단순히 ‘말이 느린 것’과, 의사소통 전반의 어려움은 다를 수 있어요.

2.언어 발달의 일반적인 기준

아이의 언어는 보통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발달합니다:

  • 12개월: ‘엄마’, ‘빠빠’ 등 한두 단어 말하기 시작
  • 18개월: 단어 수 약 10~50개, 간단한 명령 이해
  • 24개월: 2~3단어 문장 사용 ("엄마 안녕", "우유 줘")
  • 36개월: 간단한 대화 가능, 낯선 사람도 70% 이상 이해 가능

이 기준보다 6개월 이상 늦다면 언어 지연을 의심할 수 있어요.

3.언어 지연의 원인

언어 지연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 청력 문제: 중이염이나 청각장애로 인한 언어 입력 부족
  • 발달 지연: 전반적인 발달 지연이나 지적 장애
  • 자폐 스펙트럼: 언어뿐 아니라 사회성 전반의 문제 동반
  • 환경적 요인: 언어 자극 부족, TV나 스마트폰 노출 과다
  • 남아인 경우: 여아보다 언어 발달이 평균적으로 늦은 경향

4.이런 신호가 있다면 점검해보세요

  • 15개월이 지나도 말이 전혀 없는 경우
  • 20개월이 넘었는데 단어 수가 10개 미만
  • 2세가 지나도 두 단어 문장을 사용하지 못함
  • 말을 거의 하지 않고, 눈 맞춤, 흉내, 손짓도 드묾
  • 간단한 지시(“공 가져와”)를 이해하지 못함

5.언제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까요?

위와 같은 증상이 1~2가지라도 해당된다면, 소아청소년과나 언어치료 센터, 발달클리닉에 방문해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6.부모가 해줄 수 있는 것들

  • 자주 말을 걸어주세요: 아이가 이해하지 못해도 괜찮아요
  • 그림책 많이 읽어주기: 반복적인 어휘 노출이 중요
  • 아이의 눈높이 맞추기: 아이가 보는 것을 함께 말로 표현
  • 스마트폰 자제: 일방적인 자극은 언어 발달에 방해
  • 칭찬해주기: 단어 하나만 말해도 ‘대화’로 인정해 주세요

7.말보다 중요한 건 연결이에요

아이의 말이 느리더라도 조급해하지 마세요. ‘말’보다 더 중요한 건 ‘소통’이고, ‘마음’입니다. 말을 잘 못해도 아이는 이미 엄마 아빠와 연결되고 있어요. 그 마음을 따뜻하게 이어가는 것이 언어 발달의 가장 큰 힘이 됩니다.


#언어지연 #아기언어발달 #소아언어치료 #육아정보 #말이늦어요 #부모팁 #자폐증상 #소아청력검사 #발달클리닉 #육아고민 #아기성장시리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