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우리 아이는 왜 소리에 민감할까요? – 청각 과민과 그 의미

by 도토리콩콩뿡 2025. 4. 15.
728x90
반응형

우리 아이는 왜 소리에 민감할까요? – 청각 과민 이해하기

목차

1. 청각 과민이란?

청각 과민(Hyperacusis)은 일상적인 소리를 다른 사람보다 훨씬 크게, 혹은 불쾌하게 느끼는 상태를 말합니다. 특정 소리(청소기, 전자레인지, 사람이 말하는 소리 등)가 불안이나 짜증을 유발하거나, 소리를 피하려는 회피 행동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2. 우리 아이, 이런 행동 보이나요?

  • 전기면도기, 믹서기, 핸드드라이어 등 일상기계 소리를 무서워함
  • 마트, 놀이방, 교실처럼 소리가 많은 곳에서 귀를 막고 있음
  • 지나가는 차 경적이나 방송 소리에 깜짝 놀라며 울음
  • TV 소리를 줄여달라고 자주 말함
  • 귀가 아프다고 표현하거나, 특정 소리가 들릴 때 불안해함

3. 아이가 소리에 민감한 이유는?

아이는 어른보다 청각이 더 예민하고, 외부 자극에 적응하는 능력도 낮습니다. 그러나 청각 과민이 있는 경우, 뇌가 소리 자극을 과도하게 해석하거나 걸러내지 못해 일상적인 소리도 위협처럼 느껴집니다. 이는 감각 처리 과정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피로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더 심해지기도 합니다.

5.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대응법

  • 소리 노출 완화: 이어캡이나 소음 차단 헤드폰을 사용해 주세요.
  • 예측 가능한 환경 만들기: 갑작스런 큰 소리를 피하고, ‘곧 믹서기 소리가 날 거야’와 같이 미리 알려 주세요.
  • 감각 놀이 활용: 부드러운 음악, 백색소음, 리듬악기 놀이 등으로 청각 자극을 긍정적으로 경험하게 해주세요.
  • 과잉 반응에 대한 공감: “놀랐구나, 그 소리는 갑자기 커졌지”처럼 감정을 읽어주고 진정시켜 주세요.
  • 조용한 공간 제공: 아이만의 ‘쉼 공간’을 마련해 감각 자극을 피할 수 있도록 합니다.

6. 상담이 필요한 시점

청각 과민이 일상생활, 사회성,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면 전문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특히 아래 상황이 동반된다면 소아청소년과, 소아재활의학과, 감각통합치료 전문가의 상담을 권합니다:

  • 다른 감각 자극(촉감, 빛 등)에도 민감
  • 사회적 상호작용 회피, 언어 발달 지연
  • 소리로 인해 외출 자체를 거부
  • 자해(귀를 때리는 등), 불안장애 증상 동반

7. 마무리하며

청각 과민은 흔히 있는 특성 중 하나이며, 아이가 세상을 받아들이는 방식이 다를 뿐입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의 반응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스트레스를 줄이며 일상에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아이의 감각적 특성을 이해하고 존중할 때, 더 건강한 발달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

#청각과민 #감각민감아동 #자폐스펙트럼 #소리예민 #감각처리장애 #육아정보 #부모교육
728x90
반응형